광주는 폭동이다

블랙 먼데이를 예언한 프리히터에 의해 현대적인 언어로 정리되어 세상에 나옴. 엘리어트 파동이론 2부

광주는 폭동이다

■ 파동의 변형 – 삼각 쐐기형

 

* 형태는 5파의 연장시에만 나타나는 형태로 삼각형과 구별되는 점은 두 개의 사선이 한 쪽 방향으로 진행하여 

  만난다는 점이다.

* 상승 쐐기형에서는 지지선과 저항선이 모두 상향하며, 하락 쐐기형에서는 두 선이 모두 하향한다.

* 전통적인 패턴 분석 기법에 의하면 쐐기형은 지속형에 속한다.

* 쐐기형이 지속형이든 반전형이든 관계없이 이 패턴이 나타나면 반대 방향으로의 진행이 곧 이어질 것이라 

  생각하면 틀림 없다. 

* 이런 형태의 5파 연장은 예기치 못했던 대형 호재가 터지며 이미 파동의 마무리 단계에서 힘이 소진되어 가던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는 경우에 나타나는데,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이미 기력이 소진된 시장이 지속적인 

  상승에는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런 현상이 차트로 나타나면 거의 삼각 쐐기형이 된다.

* 5파가 삼각 쐐기형으로 연장된다면 이미 시장은 약세지만 상승장세의 막바지에 일시적인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 삼각 쐐기형이 마무리 된 후에 나타나는 하락은 강력하고, 빠르게 진행되어 대폭락의 후유증을 종종 동반한다.

* 5파가 삼각 쐐기형으로 연장되는 경우는 불규칙 파동으로의 조정이 수반되지 않는다

  

■ 파동의 변형 - 미달형

 

* 5파가 아주 미약하여, 5번 파동의 정점이 3번 파동의 정점을 넘지 못하거나 설사 넘어선다 하더라도 목표치에

  상당히 못 미치는 수준으로 장을 마감하는 경우 이를 우리는 미달형이라 한다.

* 미달형인 경우 자주 만들어지는 형태가 이중 천정형이며, 이 경우도 후의 하락 추세가 매우 급하고 그 폭도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 조정 파동의 형태 – FLAT형 

 

* 3-3-5파로 파동이 구성된다.

* 변형으로 이중 flat과 확장형 flat이 있다.

* 횡보의 형태로 잘 나타나며, 4파에서 빈번히 보인다.

* a파는 지그재그, b파 역시 지그재그, c파는 5개의 완전한 파동을 그린다.

 

 

■ 조정 파동 - 지그재그 

 

* 5-3-5파로 형성된다.

* B파동의 되돌림은 a파의 61.8%를 넘지 않는다.

* 통상 c파동이 매우 강력하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a파동의 길이와 같은 정도로 마감된다.

* A파동이 5개의 소 파동인 조정파는 지그재그 밖에 없다.

 

 

■ 조정 파동 – 불규칙 파동 

 

* b파의 고점이 5파의 고점을 상회한다.

* 통상 B파의 길이는 a파의 1.382배, 1.236배로 결정된다.

* 불규칙 조정의 c파는 대 폭락의 형태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 c파동은 지그재그와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 조정 파동 – 가속 조정 

 

* 불규칙 조정의 한 형태임.

* C파의 바닥이 a파의 바닥을 하회하지 못하고 조정을 끝내는 형태로 매우 강한 장에서 나타나는 짧은 조정의 

  형태이다.

 

 

■ 조정 파동 – 이중 지그재그

 

* (5-3-5)-3-(5-3-5)의 형태로 두개의 지그재그가 연결 파동인 x파로 연결된 형태임.

* 충격파동 후 지그재그 형이 완성되는 기간이 너무 짧았다면 이중 지그재그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 조정 파동 – 이중 플랫

 

* 두개의 플랫이 x파로 연결된 모양의 조정 파로 장기 횡보의 형태로 나타난다.

* 전형적인 기간조정이라 할 수 있다.

* 이중 플랫 뿐 아니라 삼중 플랫의 형태도 나타난다.

 

■ 조정 파동 – 혼합형

 

* 플랫과 지그재그, 불규칙 파동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조정의 형태임

 

■ 파동을 매기는 요령

 

* 절대 원칙에 어긋나지 말아야 한다.

* 갭의 존재를 확인하라. – 통상 3번 파동에서 나타나며, 가끔은 5차에서 나타난다.

* 보편적인 것을 먼저 생각하고 안될 경우에만 변형을 고려한다.

* 거래량의 추이를 살핀다.

* 소파동을 검토하라.

 

■ 1번 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 1번 파동은 미약하여 감지하기가 어렵다.

* 매매에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매수를 유보하고 2파 저점에서의 매수를 고려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2번 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 1파라고 인식된 파동이 끝나고 2파가 시작되면 저점 매수로 적극 대응하여야 한다.

* 다만 매수후 1파의 저점이 하향 돌파되면 이는 파동 매김의 실패로 즉각 손절하여야 한다.

 

■ 3번 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 2파가 마무리 되고 나면 이 때는 올라도 사고 내려도 사는 전략이 필요하다.

* 보통 3파는 강력하여 조정을 기다리다가는 영원히 매수 기회를 놓치게 된다.

* 3파의 확인은 1파의 고점을 돌파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만약 1파의 고점을 상황 돌파한 후 되밀려 1파의 고점 

  아래로 내려오면 이는 3파가 아님으로 즉각 손절해야 한다.

 

■ 4번 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 3파 후 조정이 나오게 되어 4파가 진행되는 경우 3파의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한 물량은 홀딩하는 것이좋다.

* 4파의 저점에서도 적극적인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

*그러나 2,3파와 달리 추격 매수는 절대 금물이다.

 

■ 5번 파동에서의 매매 전략

 

* 4파가 마무리되고 상승하는 파동으로 마지막 충격파동이다.

* 5파는 그리 힘이 강하지 못하므로 보유 주식의 분할 매도 전략이 유효하다.

* 매도 후 재매수는 절대 금물이다.

 

■ a-b파에서의 매매 전략

 

* 5파 이후의 하락이 a파인데, 이는 이전의 조정과 그 양상이 다르다.

* 앞의 조정이 눌림목이라면, 이후의하락은 본격적인 하락인 것이다.

* 매수는 절대 금물이고, 내려도 팔고 올라도 파는 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

* 다만 b파가 시작되기 전이라면, 이를 기다려 매도하는 전략도 유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