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는 폭동이다

블랙 먼데이를 예언한 프리히터에 의해 현대적인 언어로 정리되어 세상에 나옴. 엘리어트 파동이론 1부

삼쿡 2021. 1. 8. 21:31

엘리어트 파동이론.

 

■ 소개

 

* Eliott는 1930년대 사람으로 잡지 편집장인 콜린스에 의해 발탁됨

* 콜린스의 농간으로 그의 연구 자료와 논문은 거의 사라졌음.

* 헤밀턴 볼턴에 의해 처음으로 그의 잡지에 소개됨

* 블랙 먼데이를 예언한 프리히터에 의해 현대적인 언어로 정리되어 세상에 나옴

 

■ Eliott 파동에 관계 된 용어들

 

* 추세 : 시장의 움직임이라 정의 됨.

* 추세는 상승추세, 하락추세, 횡보로 구분됨

* 지지선과 저항선 : 주가의 움직임이 멈추게 되거나 멈출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를 말함.

* 추세선 : 진행 중인 추세가 일관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천이라 정의 됨.

* 추세대 : 추세선과 평행으로 선을 그어 움직이는 가격대를 내포하는 지대라 정의 됨.

* 되돌림 비율

* 반전일

 

■ 충격파동과 조정파동

 

* 시장은 파동을 그리며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그 파동에는 충격 파동과 조정 파동이 있다.

* 충격 파동이란 주가의 흐름이 추세를 그리며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파동으로 5개의 내부 소 파동으로 구분된다.

* 조정 파동이란 추세에 거슬려서 나타나는 파동으로 3개의 내부소 파동으로 구분된다.

* 충격 파동인 경우는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서도 3번의 충격 파동과 2번의 조정 파동으로 구성된다.

*조정 파동은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를 보면 두번의 충격파동과 한번의 조정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피보나치 수열

 

* 토끼 한쌍으로 만든 문제의 풀이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 이어지는 두 숫자를 더하면 그 다음에 위치한 숫자가 됩니다. 즉1+1=2, 1+2=3, 2+3=5 

* 어느 숫자이건 하나 건너의 숫자로 나누면 그 몫은 2가 되고, 나머지는 나눈 숫자의 바로 직전의 숫자가 됩니다.

  즉 21/8=2...5이고, 144/5=2…34

* 바로 앞의 숫자를 뒤의 숫자로 나누면 그 값은 점점 1.618에 접근합니다. 즉3/2=1.5, 21/13=1.614, 55/34=1.6176, 144/89=1.61797, 610/987=1.6180327 

* 한 숫자를 하나 건너의 숫자로 나누면 그 값은 점점 2.618에 근접하게 됩니다. 즉 5/2=2.5, 21/8=2.625, 144/55=2.61818

* 1.618의 역수는 0.618이며, 2.618의 역수는 0.382 

* 1.618,0.618, 2.618, 0.382의 관계를 살펴 보면 

 

  2.618-1.618=1

  1.618-0.618=1

  1-0.618-0.382

  2.618*0.382=1

  2.618*0.618=1.618

  1.618*0.618=1

  0.618*0.618=0.382

  1.618*1.618=2.618

 

■ 피보나치 비율을 증시에 이용하는 법

 

* 2번 파동은 1번 파동총 길이의 38.2% 또는 61.8% 되돌리는 경향이 있다.

* 3번 파동은 1번 파동의 1.618배로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만약 이보다 더 커지는 경우 

   2.618배로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4번 파동은 3번 파동 총 길이의 38.2% 되 돌리는 경향이 많다. 

*b파동은 지그재그형의 조정인 경우 a 파동의 38.2% 또는 61.8% 되돌리는 경향을 보인다. 

* 불규칙 패턴인 경우 a 파동의 1.382배 또는 1.618배의 길이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 삼각형 패턴내에서의 각 파동은 그 앞 파동의 61.8%의 길이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 엘리오트 파동의 절대 법칙

 

*  2번 파동은 1번 파동의 밑에서 저점(고점)이 형성 될 수 없다.     

* 충격 파동인 1,3,5번 파동 중 3번 파동이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  4번 파동은 절대 1번 파동과 겹칠 수 없다.

 

■ 일반 법칙

 

* 4번 파동의 법칙

* 조정파동 변화의 법칙

* 파동 균등의 법칙

* 항상 이 법칙이 맞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길이의 진행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그 

* 길이의 비율은 피보나치비율만큼으로 결정될  것이다.

 

■ 각 파동의 특징 –1번 파동

 

* 새로이 시작하는 파동으로 추세의 전환점의 성격을 가진다.

* 진행되는 동안 인식이 어렵다.– 하락(상승) 중의 반등(반락)인지 여부를 알기 어려움.

* 통상 길이도 짧고, 힘도 약하다.

* 충격 파동이므로 내부에 5개의소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음.

 

■ 각 파동의 특징 – 2번 파동

 

* 조정 파동으로 1번 파동과 반대 방향

* 통상 1번 파동의 38.2%나 61.8% 되 돌리는 경향이 있으나 가끔은 100% 되돌림.

* 1번 파동의 저점을 하향할 수 없다.

* 내부에 3개의 소 파동으로 구성됨.

* 삼각형의 형태는 없다.

 

■ 각 파동의 특징 – 3번 파동

 

* 2번 파동이 끝나면 강력한 움직임을 보이는 상승파동이 시작된다.

* 충격 파동 중 통상 가장 길고 강력하다.

* 거래량도 대폭 증가한다.

* 갭의 출현이 잘 나타난다.

* 대부분의 대세의 상승(하락) 폭이 3파에 의해 결정된다.

* 주가가 1번의 고점을 통과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절대 원칙에 의해 충격 파동 중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 각 파동의 특징 – 4번 파동

 

* 3번 파동의 열기가 식으면4번 파동이 시작된다.

* 조정 파동이다.

* 4번 파동의 저점은 다음 세 가지 중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 :3번 파동을 38.2% 되돌리는 경향이 있다.

  둘째 : 4번파동은 3번 파동의 소 파동 중 4번 파동과 저점이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4번 파동은 종종 2번 파동의 길이와 같이 진행되는 경향을 보인다.

* 4번 파동은 1번 파동과 겹칠 수 없다.

 

■ 각 파동의 특징 – 5번 파동 

 

* 3번 파동에 비해 움직임이 활발하지 못하고 그 길이도 비교적 짧다.

* 거래량은 3번 파동을 상회한다.

* 5번 파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1번 파동과 같은 길이로 형성되거나 그 힘이 부족한 경우라도 최소한 1번 파동의 61.8% 이상에서 마감한다. 

    2) 5번 파동의 길이는1번에서 3번 파동까지 총 길이의 61.8% 만큼 형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3) 삼각쐐기형은 5번 파동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패턴이다.

 

■ 파동의 변형 - 연장파

 

* 연장되는 파동은 충격파동 뿐이며,조정 파동은 연장될 수 없다 .

* 세개의 충격 파동 중 하나에서만 연장파가 생길 수 있다.

* 연장, 재연장 등과 같이 연이은 연장이 일어날 수가 있다. 

* 연장이 일어날 경우 거래량 또한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 5번 파동이 연장되는 경우 불규칙파동을 나타내게 된다.

 

■ 파동의 변형 – 5번 파동의 연장

 

* 1, 3번 파동의 연장이 없어야 한다.

* 4번 파동이 그 길이나 기간이 정상보다 유난히 짧다면 5번 파동이 연장될 가능성을 높여 준다. 

* 둘째의 조건에 더불어 4번 파동이 불규칙 조정의 모습을 보인다면 5번 파동이 연장될 가능성을 더욱 높여 준다. 

* 5파에서 거래량이 급격히 늘어난다면 연장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 만약 5파가 연장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이어 올 조정파가 불규칙 조정의 형태를 보여 b파의 꼭지가 5파의

  꼭지를 넘어설 것에 대비해 두어야 한다. 

 

■ 파동의 변형 – 이중 되돌림 

 

이중 되 돌림은 5파가 연장될 경우에만 나타나는 특수한 형태로 b파동이 5파의 정점을 넘어서는현상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중 되돌림의 조정을 보이면 b파 이후의 c파는 그 하락 속도가 매우 급하고, 폭도 매우 크다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